서울아트시네마 애니충격 감독열전
Animpact IN Seoul Art Cinema
2008년 3월
‘치유와 상생의 애니메이션, 전승일 감독을 만나다’ 편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월례영화제인 애니충격전과 함께 선보이는 ‘서울아트시네마 애니충격 감독열전’. 지난해 10월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영국의 다니엘 그리브즈, 이탈리아의 시모네 마씨, 한국의 김준기 감독, ‘빼꼼’의 임아론 감독과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정평이 난 아르헨티나의 후안 파블로 자라멜라 감독의 작품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2008년의 첫 애니충격 감독열전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3월에는 ‘치유와 상생’을 주제로 한 전승일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한데 모아 소개합니다. 전승일 감독은 자신만의 따스한 예술적 감각과 흡인력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권과 생명 등 사회문화적 이슈들에 정면으로 맞서면서도, 상처를 보듬는 애니메이션을 꾸준히 만들고 있습니다.
그의 애니메이션은 386세대뿐 아니라 모든 세대를 향해 ‘잊어서는 안 되지만 잊혀지고 있는’ 역사적·사회적 상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우리 신화 ‘자청비’를 통해 반전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하늘나무>, 5.18 민주항쟁의 상처를 다양한 관점에서 표현한 뮤직비디오 <오월상생>은 사회가 은폐하고 있는 역사의 기록이자 기억입니다.
<내일인간>은 엄청난 생태계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가득한 미래에 대한 경고이며, 1997년 당시 한국의 양심수와 그 자녀들의 상처받은 동심이 표현된 <사랑해요>는 상처의 치유에서 나아가 밝은 미래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있는 작품입니다. 또,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짧은 판타지인 <미메시스 TV>, 파괴적인 현대문명을 그리고 있는 <순환> 등의 작품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전승일 감독의 날카로운 시선과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반짝이는 상상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의 작업을 통해 전승일 감독은 현대문명과 우리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고 상생(相生)함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기약하려 합니다. 전승일 감독의 대표작들을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3월 애니충격 감독열전 프로그램이, 마음의 상처로 가슴앓이를 하는 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리라 기대해 봅니다.
14일 저녁 7시 30분 마지막회 상영 후에는 전승일 감독과의 대화 시간도 마련하여, 작품세계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작업 과정에 대한 관객들의 궁금증을 풀 수 있는 장을 열 것입니다.
■ 상영작(전 작품 12세 이상 관람가)
1. 오월상생 Memory of May
감독·각본 : 전승일
2007 한국 26min14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실험 다큐 Color/B&W DVCAM
1980년 5월,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장악한 신군부는 계엄해제를 요구하는 광주 시민들을 총칼로 무자비하게 학살하는 만행을 자행한다. 민주주의를 향한 도도한 물결이 핏빛 주검으로 처참하게 압살 당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계엄군의 잔인한 살육에 맞서 죽음을 불사하고 끝까지 싸운 사람들이 있었다. 5·18 민중항쟁은 도청 최후 진압으로 패배하였지만 헌신적인 희생과 저항 정신, 나눔과 자치, 연대의 공동체 정신은 아직 살아있다.
(1)오월의 노래 2 Song of May 2
6min4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Color
음악: 강은영
신록이 푸르른 어느 봄날, 중학생 또래의 아이들이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5·18 묘지를 방문한다.
(2)민주 햇살 Sunbeams of Democracy
4min16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실험 다큐 Color/B&W
음악: MOT / 시: 신경림 / 작곡: 안혜경
거대한 탄피들이 박혀 있는 혈루의 땅에 한 소녀가 걷고 있다.
(3)전진하는 오월 Advancing May
4min12sec 실험 다큐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W/Color
음악: 꽃다지 / 작사: 고규태 / 작곡: 김경주, 박태홍
5·18 민중항쟁을 기록한 다큐 필름은 대부분 독일인 유르겐 힌츠페터 기자에 의해 촬영되었다. 국내에서는 86년에 이르러서야 ‘지하에서 불법 복사’된 비디오 테입으로 5·18의 참상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80년 당시 독일 공영방송은 이렇게 보도하였다.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4)오월의 노래 1 Song of May 1
4min48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Color
음악: 정마리 / 작사·작곡: 문승현
5·18 민중항쟁 당시, 헌혈을 하고 나오는 길에 헬기 기총소사에 맞아 사망한 어느 소녀의 영혼에 대한 이야기.
(5)임을 위한 행진곡 March For Thee
5min3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실험 다큐 Color/B&W
음악: 허클베리 핀 / 시: 백기완 / 작사: 황석영 / 작곡: 김종률
한 소년이 제단에 칼빈 소총을 바치고 피의 플래카드를 쓰고 있다. 소녀는 소년에게 다가가 총을 건네고, 아이들도 잇달아 제단에 총을 올린다.
2. 내일인간 Tomorrow Human
감독 : 전승일
1994 한국 3min17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보다 나은 삶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빚어내고 있는 무제한적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을 막아내지 못하면 어떤 사회가 될 것인가?
1995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
2005 서울환경영화제 등
3. 연필이야기 2 Pencil Story 2
감독 : 전승일
1995 한국 3min2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작은 연필 하나가 등장해서 장난스럽게 공장 건물을 그리기 시작한다. 공장 굴뚝에서 솟아나는 회색 연기는 화면을 가득 메우고 연필은 숨을 쉬지 못해 답답해하는데….
1995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
2005 서울환경영화제 등
4. 순환 Circulation
감독 : 전승일 / 음악 : 이성욱
1996 한국 3min4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atacam
인간의 고유한 본성은 화해와 사랑을 낳기도 하지만, 때로는 대립과 전쟁을 일으키면서 무수한 발전과 갈등을 잉태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1996 부산국제영화제
1997 오버하우젠 국제단편영화제 (독일)
1998 싱가폴 애니메이션 피에스타 등
5. 사랑해요 We Love You
감독 : 전승일
1997 한국 8min24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1997년 당시 한국의 양심수와 그 자녀들의 상처받은 동심을 소재로 한 작품. 양심수 자녀들이 직접 그린 그림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표현하였다.
1997 서울인권영화제
1998 인디포럼
2002 오타와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캐나다) 등
6. 미메시스TV MIMESIS TV
감독: 전승일
2000 한국 3min1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DV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짧은 판타지.
2000 부산국제영화제
인디포럼
2002 테헤란 국제단편영화제 (이란) 등
7. 하늘나무 Cosmic Tree
감독 : 전승일 / 음악 : 성기완
2003 한국 16min2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HD
전쟁을 겪고 있는 어느 도시, 포스터 제조공장에서 잉크통 나르는 일을 하고 있는 소년. 어느 날 그는 실수로 잉크통을 잘못 운반하는 바람에 인쇄 상태가 불량한 포스터를 집에 들고 오는데….
2003 부산국제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2004 싱가폴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인권영화제
ANIMA MUNDI (브라질)
2005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인권영화제 (아르헨티나)
버몬트 국제영화제 (미국)
2006 로마 국제독립영화제 (이태리) 등
8. Cold Blood
감독 : 전승일 / 음악 : MOT
2004 한국 3min40sec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Betacam
2인조 모던록 밴드 MOT의 데뷔앨범 'Non-Linear'에 타이틀곡으로 수록된 'Cold Blood'의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2004 리용 아시안필름 페스티벌 (프랑스)
2005 트레본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체코)
중국 국제카툰&디지털아트페스티벌
샌디에고 아시안필름 페스티벌 (미국)
베를린 국제단편영화제 (독일)
ANIMADRID (스페인) 등
1회: 13시 30분
2회: 15시 30분
3회: 17시 30분
4회: 19시 30분(상영 후 전승일 감독과의 대화)
※매 회 위 상영작 전체를 상영합니다.
Animpact IN Seoul Art Cinema
2008년 3월
‘치유와 상생의 애니메이션, 전승일 감독을 만나다’ 편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월례영화제인 애니충격전과 함께 선보이는 ‘서울아트시네마 애니충격 감독열전’. 지난해 10월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영국의 다니엘 그리브즈, 이탈리아의 시모네 마씨, 한국의 김준기 감독, ‘빼꼼’의 임아론 감독과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정평이 난 아르헨티나의 후안 파블로 자라멜라 감독의 작품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2008년의 첫 애니충격 감독열전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3월에는 ‘치유와 상생’을 주제로 한 전승일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한데 모아 소개합니다. 전승일 감독은 자신만의 따스한 예술적 감각과 흡인력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권과 생명 등 사회문화적 이슈들에 정면으로 맞서면서도, 상처를 보듬는 애니메이션을 꾸준히 만들고 있습니다.
그의 애니메이션은 386세대뿐 아니라 모든 세대를 향해 ‘잊어서는 안 되지만 잊혀지고 있는’ 역사적·사회적 상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우리 신화 ‘자청비’를 통해 반전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하늘나무>, 5.18 민주항쟁의 상처를 다양한 관점에서 표현한 뮤직비디오 <오월상생>은 사회가 은폐하고 있는 역사의 기록이자 기억입니다.
<내일인간>은 엄청난 생태계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가득한 미래에 대한 경고이며, 1997년 당시 한국의 양심수와 그 자녀들의 상처받은 동심이 표현된 <사랑해요>는 상처의 치유에서 나아가 밝은 미래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있는 작품입니다. 또,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짧은 판타지인 <미메시스 TV>, 파괴적인 현대문명을 그리고 있는 <순환> 등의 작품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전승일 감독의 날카로운 시선과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반짝이는 상상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의 작업을 통해 전승일 감독은 현대문명과 우리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고 상생(相生)함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기약하려 합니다. 전승일 감독의 대표작들을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3월 애니충격 감독열전 프로그램이, 마음의 상처로 가슴앓이를 하는 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리라 기대해 봅니다.
14일 저녁 7시 30분 마지막회 상영 후에는 전승일 감독과의 대화 시간도 마련하여, 작품세계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작업 과정에 대한 관객들의 궁금증을 풀 수 있는 장을 열 것입니다.
■ 상영작(전 작품 12세 이상 관람가)
1. 오월상생 Memory of May
감독·각본 : 전승일
2007 한국 26min14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실험 다큐 Color/B&W DVCAM
1980년 5월,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장악한 신군부는 계엄해제를 요구하는 광주 시민들을 총칼로 무자비하게 학살하는 만행을 자행한다. 민주주의를 향한 도도한 물결이 핏빛 주검으로 처참하게 압살 당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계엄군의 잔인한 살육에 맞서 죽음을 불사하고 끝까지 싸운 사람들이 있었다. 5·18 민중항쟁은 도청 최후 진압으로 패배하였지만 헌신적인 희생과 저항 정신, 나눔과 자치, 연대의 공동체 정신은 아직 살아있다.
(1)오월의 노래 2 Song of May 2
6min4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Color
음악: 강은영
신록이 푸르른 어느 봄날, 중학생 또래의 아이들이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5·18 묘지를 방문한다.
(2)민주 햇살 Sunbeams of Democracy
4min16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실험 다큐 Color/B&W
음악: MOT / 시: 신경림 / 작곡: 안혜경
거대한 탄피들이 박혀 있는 혈루의 땅에 한 소녀가 걷고 있다.
(3)전진하는 오월 Advancing May
4min12sec 실험 다큐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W/Color
음악: 꽃다지 / 작사: 고규태 / 작곡: 김경주, 박태홍
5·18 민중항쟁을 기록한 다큐 필름은 대부분 독일인 유르겐 힌츠페터 기자에 의해 촬영되었다. 국내에서는 86년에 이르러서야 ‘지하에서 불법 복사’된 비디오 테입으로 5·18의 참상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80년 당시 독일 공영방송은 이렇게 보도하였다.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4)오월의 노래 1 Song of May 1
4min48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Color
음악: 정마리 / 작사·작곡: 문승현
5·18 민중항쟁 당시, 헌혈을 하고 나오는 길에 헬기 기총소사에 맞아 사망한 어느 소녀의 영혼에 대한 이야기.
(5)임을 위한 행진곡 March For Thee
5min3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실험 다큐 Color/B&W
음악: 허클베리 핀 / 시: 백기완 / 작사: 황석영 / 작곡: 김종률
한 소년이 제단에 칼빈 소총을 바치고 피의 플래카드를 쓰고 있다. 소녀는 소년에게 다가가 총을 건네고, 아이들도 잇달아 제단에 총을 올린다.
2. 내일인간 Tomorrow Human
감독 : 전승일
1994 한국 3min17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보다 나은 삶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빚어내고 있는 무제한적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을 막아내지 못하면 어떤 사회가 될 것인가?
1995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
2005 서울환경영화제 등
3. 연필이야기 2 Pencil Story 2
감독 : 전승일
1995 한국 3min2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작은 연필 하나가 등장해서 장난스럽게 공장 건물을 그리기 시작한다. 공장 굴뚝에서 솟아나는 회색 연기는 화면을 가득 메우고 연필은 숨을 쉬지 못해 답답해하는데….
1995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
2005 서울환경영화제 등
4. 순환 Circulation
감독 : 전승일 / 음악 : 이성욱
1996 한국 3min4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atacam
인간의 고유한 본성은 화해와 사랑을 낳기도 하지만, 때로는 대립과 전쟁을 일으키면서 무수한 발전과 갈등을 잉태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1996 부산국제영화제
1997 오버하우젠 국제단편영화제 (독일)
1998 싱가폴 애니메이션 피에스타 등
5. 사랑해요 We Love You
감독 : 전승일
1997 한국 8min24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Betacam
1997년 당시 한국의 양심수와 그 자녀들의 상처받은 동심을 소재로 한 작품. 양심수 자녀들이 직접 그린 그림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표현하였다.
1997 서울인권영화제
1998 인디포럼
2002 오타와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캐나다) 등
6. 미메시스TV MIMESIS TV
감독: 전승일
2000 한국 3min10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DV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짧은 판타지.
2000 부산국제영화제
인디포럼
2002 테헤란 국제단편영화제 (이란) 등
7. 하늘나무 Cosmic Tree
감독 : 전승일 / 음악 : 성기완
2003 한국 16min25sec 컴퓨터 2D 애니메이션 HD
전쟁을 겪고 있는 어느 도시, 포스터 제조공장에서 잉크통 나르는 일을 하고 있는 소년. 어느 날 그는 실수로 잉크통을 잘못 운반하는 바람에 인쇄 상태가 불량한 포스터를 집에 들고 오는데….
2003 부산국제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2004 싱가폴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인권영화제
ANIMA MUNDI (브라질)
2005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인권영화제 (아르헨티나)
버몬트 국제영화제 (미국)
2006 로마 국제독립영화제 (이태리) 등
8. Cold Blood
감독 : 전승일 / 음악 : MOT
2004 한국 3min40sec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Betacam
2인조 모던록 밴드 MOT의 데뷔앨범 'Non-Linear'에 타이틀곡으로 수록된 'Cold Blood'의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2004 리용 아시안필름 페스티벌 (프랑스)
2005 트레본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체코)
중국 국제카툰&디지털아트페스티벌
샌디에고 아시안필름 페스티벌 (미국)
베를린 국제단편영화제 (독일)
ANIMADRID (스페인) 등
1회: 13시 30분
2회: 15시 30분
3회: 17시 30분
4회: 19시 30분(상영 후 전승일 감독과의 대화)
※매 회 위 상영작 전체를 상영합니다.
(서울=뉴스와이어)
'Mov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보다 착하고, 귀엽고, 똑똑한 코끼리 ‘호튼’ 전격 해부 (0) | 2008.03.26 |
---|---|
예술의 도시 피렌체, 이명세와 M을 만나다 (0) | 2008.03.12 |
‘10,000 BC’ 전세계가 기원전 1만년으로 돌아간다 (0) | 2008.02.14 |
''007 퀀텀'' 티져 포스터 전격 공개 (0) | 2008.02.12 |
‘중공군 찬양(?) 영화’ 국내 개봉 (0) | 2008.02.06 |